본문 바로가기
Mathmatics/Number Theory

Bezout's Identity(베주 항등식) 증명 완벽 이해

by blackjack_96 2022. 4. 21.

오늘은 Bezout's Identity의 증명을 완벽하게 이해 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베주의 항등식이란?

베주의 항등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번에 방정식의 정수해만을 고려하는 부정 방정식의 해법인

1차 Diopantine Equation에 관하여 포스팅을 한 바 있습니다.

 

 

해당 방정식의 정수쌍 (x,y)의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에 관한 증명을 할 때

Bezout's Identity가 사용이 되었습니다.

 

ax + by = gcd(a,b)

라는 형태의 방정식이 있을 때,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쌍 x,y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정리입니다.

 

증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베주의 항등식 증명

"위 식을 만족시키는 정수쌍 x와 y가 존재한다"와 같은

어떤 대상에 대한 존재성을 증명하고자 할 때에는 집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합 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보도록 하죠

 

 

여기서 a,b,x,y는 모두 정수이고,

ax + by > 0을 만족하는 정수쌍 a,b,x,y가 반드시 존재합니다.

그러면 S는 Empty Set이 아닌 것이 되므로,

정렬원리(Well-ordering principle)에 의하여 집합 S는 최소 원소를 가집니다.

 

이 가장 작은 원소를 k라고 해 봅시다.그리고 ax + by = k를 만족하는 정수쌍 x와 y를 각각 x0, y0라고 해 봅시다.그러면 다음과 같은 식이 만들어 집니다.

 

 

ax0 + by0 = k

 

k는 자연수 이므로나눗셈 정리에 의하여

 

a = k * q + r (0 <= r <k)를 만족하는 정수 q와 r이 반드시 존재합니다이 식을 r에 대하여 정리하면r = a-k*q  = a-(ax0 + by0)q  = a(1-x0) + b(y0q)

 

모양을 보아하니,이 r이라는 수는(0<=r < k) 분면 S의 원소처럼 생겼습니다.

 

여기서 r > 0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r은 S의 원소가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 모순점이 발생합니다.

r은 S의 원소이지만, 위 식에서 0 <= r < k라고 되어 있죠.

r < k라는 부분에서

집합 S의 최소원소는 k가 되어야 하는데

r > 0 이라고 가정을 했을 때에는 집합 S의 최소원소가 r이 되면서 모순이 발생합니다. (Proof by contradiction)

 

 

따라서 r > 0 이라는 가정은 거짓이 되고

r = 0이기 때문에

a = k * q에 의하여

k | a라는 결과가 도출됩니다.

 

 

마찬가지로 b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단계로 정리하면

k | b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 | a, c | b를 만족하는 자연수 c가 있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모든 정수 x와 y에 대하여 c | ax + by도 성립하게 되고

c | axo + by0 = k도 성립하게 됩니다.

 

 

 

최대공약수의 정의에 의하여

k라는 수는 a와 b의 최대공약수가 됩니다.

 

 

ax + by = gcd(a,b)를 만족하는 정수쌍 x와 y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