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m,n과 임의의 정수 k에 대하여
gcd(m,n) = gcd(m+kn,n)이다
최대공약수와 관련된 정리는 여태까지 방정식을 세워 대수적으로 증명하였었다.
하지만 이 풀이는 집합이론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A집합은 B집합과 같은 원소를 가지는가를 증명할 때는 다음 두 가지만 증명하면 된다
1. A는 B의 부분집합이다
2. B또한 A의 부분집합이다
위 사실을 이용하여 증명해보도록 하자.
정수 m과 n의 공약수의 집합을 S,
정수 m +kn과 n의 공약수의 집합을 T라고 해보자.
1. S는 T의 부분집합임을 증명
S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x | m,x | n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성질을 가진 x에 대하여 다음 사실도 성립한다.
S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x | m+nk, x | n (k는 정수이기 때문이다)
S의 모든 원소는 집합 T의 원소이기에
S는 T의 부분집합이다
2. T는 S의 부분집합임을 증명
T의 임의의 원소 y에 대하여 y | m + nk이고 y | n이다.
y | n 이기 때문에, 임의의 정수 k에 대하여 y | nk이며
따라서 다음도 성립한다
y | (m+nk) - (nk) = m
y | n, y | m이기 때문에
T의 임의의 원소 y는 집합 S에 속한다.
집합 S는 T의 부분집합이고
집합 T는 역시 S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집합 S와 T는 같다.
정수 m과 n의 공약수의 집합 S = 정수 m +kn과 n의 공약수의 집합 T
따라서, m과 n의 공약수의 집합 중 가장 큰 원소 = gcd(m, n)
m+kn과 n의 공약수 집합 중 가장 큰 원소 = gcd(m+kn, n)
gcd(m,n) = gcd(m + kn,n)이다
'Mathmatics > Numb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Diophantine equation 해 존재 조건과 증명 (0) | 2022.04.14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1959 1번 문제 풀이 (0) | 2022.04.13 |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2016 중등부 14번 풀이(정수론) (0) | 2022.04.12 |
Division Theorem(나눗셈 정리) 증명 (0) | 2022.04.12 |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2019 중등부 2번 풀이(정수론) (0) | 2022.04.11 |